하천생태지도

가평천 (加平川)

위치 :
경기 가평 / 길이 30.0km

경기도 가평군 일대를 흐르는 하천 화악산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가평 고을 북부를 적시고 흐르는 가평천은 수도권 최고의 청정지역을 이루는 물줄기다. 가평천으로 흘러드는 많은 지류 가운데 으뜸 절경은 승안리의 용추구곡,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며 아홉 굽이의 그림 같은 경치를 수놓았다는 곳이다. 한여름엔 더위를 느낄 틈이 없을 정도로 서늘하다.

영평천 (永平川)

위치 :
경기 포천 / 길이 30.9km

경기도 포천시를 흐르는 하천. 이동면 북부에 있는 자등현과 광덕현에서 발원하여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에서 한탄강으로 흘러든다. 광덕현 에서 흘러나온 물은 남동쪽의 백운산에서 흘러나온 물과 합쳐 선유담의 경승을 이루고, 일동면에 이르러 많은 지류와 함께 넓은 곡저평야를 펼친다. 물길은 이곳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산지를 북서류하다가 영중면 에서 포천천을 받아들이고 서류한다. 이어 창수면 고소성리에서 북류하여 전곡호를 이루었다가 한탄강과 합류한다.

차탄천 (車灘川)

위치 :
경기 연천 일대 / 길이 35km

경기도 연천군 일대를 흐르는 하천.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발원하여 대광리, 연천을 경유하여 전곡을 거쳐 한탄강과 합류 후 좀 더 흘러 다시 임진강과 합류되는 임진강의 지류로 간혹 연천천으로도 불리운다.전곡지역은 선사시대 유적지대이며 맑고 푸른물과 화산에 의해 형성된 현무암 지대로 물이 협곡 사이를 흐르고 있어서 여름에도 시원한 바람을 느낄수 있는 곳이다.

문산천 (汶山川)

위치 :
경기 양주, 파주 / 길이 27.75km

경기도 양주시, 파주시를 흐르는 하천. 한강 권역의 한강 수계에 속하며, 한강의 제2지류(제1지류 는 임진강)이다. 국가하천, 지방2급 하천으로 나뉘어져 있다. 지방2급 하천은 양주시 백석읍 영장리에서 시작하여 파주시 광탄면 창만리에서 국가하천으로 바뀌며, 이후 파주읍, 광탄면, 월롱면의 경계를 이루면서 파주시 문산읍 에서 임진강과 합류한다. 일대는 홍수취약지구로서, 오랜 시간 동안 토사가 쌓여서 썰물 때가 되어도 물이 제대로 바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매년 홍수때마다 수해로 피해를 입고 있다.

왕숙천 (王宿川)

위치 :
경기 포천, 남양주, 구리 / 길이 37.34km

경기도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를 흐르는 하천.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 수원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쪽 으로 흘러 남양주시를 지나 구리시에서 한강으로 흘러 든다. 유역에는 광릉, 광릉수목원, 밤섬유원지, 동구릉 등 사적 및 관광지가 많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상왕으로 있을때 팔야리에서 8일을 머물렀다고 해서 ‘왕숙천’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밖에 세조를 광릉에 안장한 후 “선완이 길이 잠들다” 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흑천 (黑川)

위치 :
경기도 양평군을 흐르는 하천

경기도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를 흐르는 하천. 양평군 청운면 도원리 금물산에서 발원하여 개군면 앙덕리에서 남한간과 합류하며 양평읍 원덕리부터는 상수원보호지구로 관리되어지고 있다. 흑천은 한강 수계의 지방 2급하천으로서 총 연장 37km 이며,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위하여 환경부에서 설정한 우선 조사수역인 양평 수역으로 남한강 지류인 하천이다.

곡릉천 (曲陵川)

위치 :
경기 양주시, 고양시, 파주시 / 길이 45.7km

경기도 양주시, 고양시, 파주시에 흐르는 하천 한강 권역의 한강 수계에 속하며, 한강의 제1지류이다. 가둔천 또는 가돈천이라고도 부르며, 중류 지역인 고양시 부근에서는 심천이라 부르고, 파주시 조리읍 부근에서는 봉일천, 금촌동 남쪽에서는 금성진, 하류의 교하읍 부근 에서는 방천이라 부른다. 오금천 합류지점부터 대자천 합류지점 사이는 신원천 이라고도 불렀다.

경안천 (慶安川)

위치 :
경기 용인, 광주 등 / 길이 26.8km

경기도 용인시, 광주시를 흐르는 하천 용인시 이동면 어비리 저수지에서 발원하여 능원천, 곤지천과 합류하여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영동고속도로가 이 하천을 통과하는 지점에 요인 인터체인지가 있다.

복하천 (福河川)

위치 :
경기 용인, 이천, 여주 / 길이 34.8km

경기도 용인시, 이천시, 여주군을 흐르는 하천 한강 권역의 한강 수계에 속하며, 한강의 제 1지류이다. 일제강점기 때만 해도 배들이 이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쌀을 실으러 남한강을 통하여 드나들었지만. 지금은 수량이 줄고 하상이 높아져 운행하지 못한다. 청미천 등과 함께 일대에 평야를 잘 발달시켜 양질의 쌍이 생산되지만. 상류의 유독물업체 등 오염원이자리잡고 있어 수질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양화천 (安養川)

위치 :
경기 이천, 여주 등 / 길이 32.0km

경기도 이천시, 여주군 등을 흐르는 하천. 원류는 이천시 남부에서 시작해서 가남면 상활리를 경유 하는 물과 태평리, 신해리를 경유하는 물이 정단리와 양거리 사이에서 합류하여 대하천을 이루어 매류리와 용은리 사이, 구양리와 신군리 사이, 백석리와 율극리 사이, 상백리와 내양리 사이를 경유한다. 천연기념물 활쏘가리가 서식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어, 그 보호가 절실한 곳이다.

안양천 (安養川)

위치 :
경기 안양 / 길이 34.8km

경기도 안양시를 북서쪽으로 흐르는 하천. 삼성산에서 발원하는 하천과, 백운산에서 흘러나온 학의천 및 군포시를 흐르는 산본천 등의 지류가 안양시 석수동에서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물길은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ㆍ구로구ㆍ영등포구를 자나 성산대교 서쪽에서 한강으로 흘러든다. 삼성산의 안양사 에서 발원하였다 하여 안양천이라 부르며, 조선시대에는 대천ㆍ기탄이라고도 하였다.

오산천 (烏山川)

위치 :
경기 용인, 화성, 오산 / 길이 14.67km

경기도 용인시, 화성시, 호산시를 흐르는 하천 경기도 용인시 구성읍 동백리 석성산에서 발원하여 기흥읍 중앙을 가로질러 신갈저수지로 흘러든다. 저수지 남쪽에서 흘러나온 물길은 동쪽에서 흘러오는 신리천, 장지천 등의 지류를 합치면서 오산시 중심부를 남쪽으로 흐르다가 평택시 서탄면과 진위면의 경계에서 진위천으로 흘러든다.

청미천 (淸渼川)

위치 :
안성시, 이천시를 지나 여주군에서 한강에 합류하는 하천.

경기도 용인시, 화성시, 호산시를 흐르는 하천 경기 용인시 원삼면에서 발원하여 동류하여, 안성시 일죽면, 이천시 장호원읍을 지나 경기ㆍ강원ㆍ충북 3도가 접하는 지점인 여주군 점동명 삼합리에서 한강으로 흘러 든다. 상류에서부터 방초천ㆍ죽산천ㆍ석원천ㆍ응천ㆍ 금곡천 등의 작은 지류와 만난다. 경기 남부 지역의 관개수원으로서 큰 몫을 한다.

황구지천 (黃口池川)

위치 :
경기 의왕, 수원, 화성, 오산, 평택 / 길이 32.5km

경기도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등을 흐르는 하천. 한강 권역인 안성천 수계에 속하며, 안성천의 제2지류 이다. 강이 흐르면서 수원시와 평택시 청북면, 화성시 양감면ㆍ정남면 등에 토사를 퇴적시켜 충적층을 이루어 놓았다. 황구지천이라는 이름은 ‘ 큰 고지가 있는 강’이라는 뜻이며, ‘뻗친 내’라는 뜻의 우리말 ‘느러곶이내’가 ‘놀곶이 내’로 되면서 항곶포라고 표기하다가 ‘항’이 황으로 변한 것이다. ‘구지’는 ‘고지ㆍ곶이(곶)’를 가리킨다.

진위천 (振威川)

위치 :
경기 안성, 용인, 화성, 평택 등 / 길이 40.55km

경기도 안성시, 용인시, 화성시, 평택시를 흐르는 하천. 한강 권역의 안성천 수계에 속하며, 안성천의 제1지류 이다. 국가하천, 지방 2급 하천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안에 넓은 충적지를 이루어 놓았고, 아산만 방조제가 건설된 이후 수량을 인위적으로 저절하게 되었다. 서탄면 회하리 지역은 낚시꾼들이 자주 찾는다.

안성천 (安城川)

위치 :
경기 안성 / 길이 76km

경기 용인시 남부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안성과 평택을 거쳐 남서방향으로 흐르면서 황해로 유입하는 하천. 진위천ㆍ청룡천ㆍ입장천 등의 지류가 있다. 아산만 방조제가 건설된 이후 하류의 감조구역이 크게 축소 되었으며, 주위에는 비옥한 안성평야가 전개된다.

서식하는 물고기

  • 잉어(잉어과)
  • 붕어(잉어과)
  • 한강납줄개(잉어과)
  • 각시붕어(잉어과)
  • 납지리(잉어과)
  • 떡납줄갱이(잉어과)
  • 줄몰개(잉어과)
  • 긴몰개(잉어과)
  • 참마자(잉어과)
  • 모래무지(잉어과)
  • 돌마자(잉어과)
  • 배가사리(잉어과)
  • 버틀치(잉어과)
  • 참갈겨니(잉어과)
  • 피라미(잉어과)
  • 대륙종개(미꾸리과)
  • 미꾸리(미꾸리과)
  • 새꼬미꾸리(미꾸리과)
  • 참종개(미꾸리과)
  • 동자개(동자개과)
  • 눈동자개(미꾸리과)
  • 대농갱이(동자개과)
  • 메기(메기과)
  • 퉁가리(퉁가리과)
  • 독중개(독중개과)
  • 쏘가리(꺽지과)
  • 꺽지(꺽지과)
  • 베스(검정우럭과)
  • 동사리(동사리과)
  • 얼룩동사리(동사리과)
  • 밀어(망둑어과)

조사결과

본 조사에서 확인된 어류는 총 3목 7과 21종으로 잉어목 어류가 2과 15종으로 가장 많았고, 농어목 어류가 2과 3종 이었으며 메기목 어류가 3과 3종 출현하였다. 가평천의 3개 정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236개체였고, 이중 참갈겨니가 74개체 채집되어 출현개체수의 31.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배가사리가 21개체로 8.9%, 줄납자루, 쉬리, 새코미꾸리가 각각 15개체로 6.4%로 출현하여 우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가평천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은 줄납자루, 가는돌고기, 쉬리, 긴몰개, 돌자마, 배가사리, 참갈겨니, 새코미꾸리, 참종개, 눈동자개, 미유기, 퉁가리, 꺽지, 동사리, 얼룩동사리 등 15종이었고 외래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Ⅱ종인 가는돌고기도 서식확인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