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물생활을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하고 싶어서

박테리아를 공부하던중 여기라면 답을 얻을수 있지 않을까해서 여기까지 오게되었습니다.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어 국내외 자료들을 검색해봐도   검색실력이 부족한지

구미에 맞는 자료를 찾을 수 없어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궁금한 내용은 HTB, PSB 박테리아에 관한것인데요.

 

1) 검색한 글들을 보던중 바실러스가 대표적인 HTB계열이다. 또한 PSB계열이기도 하다. 라는 내용을 봤습니다.  전 이제껏 바실러스(락토바실러스, 바실러스 섭틸리스) 는 HTB계열로 알고 있어서 혼동이 오네요. 락토바실러스, 섭틸리스 이외에 PSB계열에 속하는 바실러스 세부균종이 존재하는걸까요? 아니면 바실러스균종이 HTB, PSB에 동시에 속하는걸까요?

 

2) HTB계열의 역할이 지방, 단백질, 황, 인 -> 아미노산 변환으로 알고있고

PSB계열의 역할이 아미노산 -> 암모늄 변환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면에 생기는 유막의 경우 단백질, 지방, 아미노산 성분으로 알고있는데 그렇다면 HTB계열과
PSB계열이 동시에 존재해야지만 유막을 제거할수있는지요?
( 그러나, 얼마전에 HTB계열의 박테리아만 투입하여 유막을 제거한적이 있습니다.)

 

3) 어항의 물이 뿌옇게 변하는 백탁의 경우 영어로 bacteria bloom이고 외국 칼럼을 봐도 HTB계열의 박테리아의 과잉증식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커뮤니티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HTB계열의 박테리아 사채라고 합니다.
HTB의 과잉증식 VS HTB 사멸       무엇이 맞는것인가요?

 

 

더운 여름에 건강 유의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