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과 박테리아의 역할 및 관계
|
---|
|
안녕하세요. 물생활을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하고 싶어서 박테리아를 공부하던중 여기라면 답을 얻을수 있지 않을까해서 여기까지 오게되었습니다.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어 국내외 자료들을 검색해봐도 검색실력이 부족한지 구미에 맞는 자료를 찾을 수 없어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궁금한 내용은 HTB, PSB 박테리아에 관한것인데요.
1) 검색한 글들을 보던중 바실러스가 대표적인 HTB계열이다. 또한 PSB계열이기도 하다. 라는 내용을 봤습니다. 전 이제껏 바실러스(락토바실러스, 바실러스 섭틸리스) 는 HTB계열로 알고 있어서 혼동이 오네요. 락토바실러스, 섭틸리스 이외에 PSB계열에 속하는 바실러스 세부균종이 존재하는걸까요? 아니면 바실러스균종이 HTB, PSB에 동시에 속하는걸까요?
2) HTB계열의 역할이 지방, 단백질, 황, 인 -> 아미노산 변환으로 알고있고 PSB계열의 역할이 아미노산 -> 암모늄 변환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면에 생기는 유막의 경우 단백질, 지방, 아미노산 성분으로 알고있는데 그렇다면 HTB계열과
3) 어항의 물이 뿌옇게 변하는 백탁의 경우 영어로 bacteria bloom이고 외국 칼럼을 봐도 HTB계열의 박테리아의 과잉증식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커뮤니티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HTB계열의 박테리아 사채라고 합니다.
더운 여름에 건강 유의하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님
해양수산자원연구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하신사항의 답변은
1. 1번사항에 질의하신 세균 중 바실러스 및 락토바실러스는 타가영양세균 또는 종속영양세균이라고 하며 영어로 heterotrophic bacteria라 하며 이것을 HTB라 하신 것으로 보이며, PSB는 독립영양세균으로 autotrophic bacteria입니다. 종속영양세균은 유기탄소와 수중 내 암모니아, 아질산염, 질산염을 이용해 증식하고, 질산화, 탈질화을 동시에 수행하며 수중 내 유기영양염 및 무기영양염의 제거 속도가 독립영양세균에 비해 굉장히 빠릅니다.
세균은 영양요구에 따라 종속(유기탄소+질소원+비타민 등)과 독립(무기탄소+질소원+비타민 등)으로 나뉘고 산소요구량에 따라 호기성, 혐기성으로 나뉩니다. 위에서 말한 psb는 광합성 독립영양세균으로 이 세균은 식물과 같이 탄소동화작용이 있어 외부의 생명체(유기탄소)을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유막은 유기물의 분해 중 완전 이온화 되지 않은 분자가 수중 내 점성을 갖는 탄수화물 종류와 결합하여 생긴 것으로 유막은 기포발생 장치로도 충분히 수면에서 안보이게 할 수 있으나 결국은 pH가 6.5 이하로 하강하여 무기물화 및 재광화가 잘 작동해야 없어지기 때문에 pH 하강을 위해 독립영양세균 중 질산화세균(Nitroso-계열, Nitro-계열)의 번식을 조장하여 질산화과정에 따라 수소이온 발생을 촉진시키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Nitrosomonas, Nitrobacter가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수중 내 탄산가스를 주입해서 수소이온 발생을 유도해도 됩니다 .
3. 종속영양세균이 과잉 번식할 때 백탁현상이 생기며 이는 너무나 많은 세균이 번식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많이 번식되면 초기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 인 등 모든 영양염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1~2일 도 안되어 종속영양세균의 폐사체에 의해 다시 암모니아가 올라오기 시작해서 점점 많아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기탄소와 질소비를 10:1 근방으로 유지해야 하며, 유기탄소는 7일 이내 중단하고 독립영양세균이 활성화 되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는 굉장히 어려운 것으로, 시중에 독립영양세균인 니트로 계열만 판매하기 때문에 초기에 이 세균을 구입해서 어항에 투입 후 3주 뒤 어류를 입식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기타 궁금하신사항은 031-8008-6510(담당자 : 이동훈 연구사)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